대표 마케터

2025년부터 첫 시행 - 정보보호위험관리사와 정보보호능력검정

케이꾸 2025. 2. 28. 16:32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2025년부터 첫 시행 - 정보보호위험관리사와 정보보호능력검정에 대해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정보보안에 관심 있는 여러분! 오늘은 점점 중요해지는 정보보호 분야의 핵심 자격증, '정보보호위험관리사'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이 자격증이 왜 주목받고 있는지, 어떤 준비가 필요한지 함께 살펴볼까요?

정보보호 분야 민간자격 시행 안내 - 정보보호위험관리사 & 정보보호능력검정

 

 

정보보호위험관리사 [ ISRM(Information Security Risk Manager ] 란?

정보보호위험관리사는 기업이나 조직의 정보 자산을 보호하고 위험을 관리하는 전문가를 의미합니다. 사이버 공격이 고도화되는 현재, 이 역할의 중요성은 나날이 커지고 있죠.
그럼에도 전세계적 사이버 보안 인재가 부족하며, 특히 한국은 일본에 비해서도 특없이 부족한 상태로 2023년 기준 단 6만명에 그쳤다고 합니다.

 
이에 정부는 2022년 7월 13일 정보보호의 날을 맞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사이버보안 10만 인재 양성 로드맵을 공개했다고 합니다.

 
정보보호위험관리사는 정보자산 보호, 위험 관리·대응 등의 업무 수행 능력을 평가하는 자격입니다.
KCA에서 시행하고 있는 정보보안기사와 동등한 수준으로 ISMS-P 위험 관리 범위를 포괄하는 정보보호 관리 전문 자격으로 운영될 예정입니다.
 
해당 종목은 학사 이상 응시가 가능하고, 필기시험으로만 시행하며,
시험 내용은 ▲정보보호 위험 관리 계획 ▲정보보호 위험 평가 ▲정보보호 위험 대응 ▲정보보호 관리체계 운영 ▲정보보호 위험대책 관리 등 총 5개 객관식 과목으로 구성됩니다.
 
 
 

정보보호위험관리사 자격시험 정보

  • 주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 시험 일정: 연 2회 (상반기, 하반기)
  • 응시 자격: 제한 없음 (누구나 응시 가능)
  • 시험 과목: 정보보호 일반, 위험 관리, 정보보호 대책

시험 시행 방법

 “모니토(Monito)” 플랫폼- 화상감독 기능이 포함된 iBT서비스로 물리적 제한없이 시험 응시가 가능합니다. 즉 수험자가 원하는 장소 어디에서든지 응시 가능한 것이지요.
 

 
□ 시행방법
 
○ (시험방법) 수험자 E-mail로 iBT시험장 접속 링크를 전송하여 시스템 
사전 테스트 후 시험시작 시간에 맞춰 전체 수험자 동시 응시
 
○ (시험감독 방법) AI 솔루션 및 원격 전문감독관으로 이중으로 운영되며, 3채널 화상모니터링(모니터-웹캠-모바일) 감독 시스템으로 부정행위 방지
 
- (AI 솔루션) 수험자의 비정상적인 행동을 AI가 모니터링하며, 시험 중 AI 감독 현황을 전문 감독관이 이중 검토하여 최종 부정행위 판단
 

< AI모니터링 기술 > / < AI 결과 리포트 >

 

 


 

정보보호능력검정 [ TOLIS(Test of Literacy in Information Security) ] 이란?

 
정보보호능력검정이라는 시험도 보였는데요. 정보보호능력검증은 국민의 정보보호 인식 제고, 보안사고 예방 등 기초 소양을 검정하는 자격으로, 국민 누구나 정보보호 능력 수준을 평가받을 수 있는 자격으로 운영됩니다. 해당 자격은 획득 점수에 따라 5개 급수로 자격을 부여한다고 하네요.
 
해당 종목은 응시자격에 제한이 없고, 필기시험으로만 이뤄지며 시험 내용은 정보보호 개요, 기술, 동향, 윤리와 침해사고 예방 및 대응 등 총 5개 객관식 과목으로 구성됩니다.
 

 
 
 
 

[영상]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정보보호자격증 2종 신설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정보보호 자격증 2종 신설 - YouTube

 

 


 
이렇게 오늘은 2025년부터 첫 시행 - 정보보호위험관리사와 정보보호능력검정에 대해 함께 알아보았습니다. 정보보호위험관리사 자격증은 단순한 스펙이 아닌, 실질적인 정보보안 능력을 인정받는 기회입니다. 여러분의 도전을 응원합니다!
 

도움이 되었다면 구독 &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
앞으로 좋은 정보를 계속 알려드리는 것에 큰 힘이 됩니다.
🩵 모두 행복한 하루 되시길 바라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