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 마케터

2025년 콘텐츠 제작의 혁명 - Make.com으로 블로그, 쇼츠, 유튜브, 카드뉴스 자동화

케이꾸 2025. 3. 5. 10:12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2025년 콘텐츠 제작의 혁명: Make.com으로 블로그, 쇼츠, 유튜브, 카드뉴스 자동화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Make 홈페이지 - 링크 (이미지 클릭)

 

 

 

디지털 콘텐츠 제작의 새로운 지평

 

2025년, 콘텐츠 크리에이터들에게 혁명적인 변화가 찾아왔습니다. Make.com(구 Integromat)을 활용한 자동화 기술이 블로그, 쇼츠, 유튜브, 카드뉴스 제작 과정을 획기적으로 간소화하고 있습니다.

 

Make.com의 강력한 자동화 기능

Make.com은 다양한 앱과 서비스를 연결하여 복잡한 워크플로우를 설계할 수 있는 강력한 자동화 플랫폼입니다. 

이를 통해 콘텐츠 제작자들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누릴 수 있습니다:

 

시간 절약: 반복적인 작업을 자동화하여 창의적인 활동에 더 많은 시간 투자

 

일관성 유지: 자동화된 프로세스로 콘텐츠 품질의 일관성 확보

 

생산성 향상: 여러 플랫폼에 동시에 콘텐츠 배포 가능

 

플랫폼별 자동화 전략

  • 블로그 자동화
  • 콘텐츠 아이디어 생성 및 초안 작성 자동화
  • SEO 최적화 및 키워드 분석 통합
  • 소셜 미디어 공유 자동화
  • 쇼츠 & 유튜브 자동화
  • 영상 편집 및 자막 생성 프로세스 간소화
  • 썸네일 제작 및 업로드 자동화
  • 댓글 관리 및 분석 리포트 자동 생성
  • 카드뉴스 자동화
  • 데이터 기반 인포그래픽 자동 생성
  • 브랜드 일관성을 위한 템플릿 적용
  • 다양한 SNS 플랫폼에 최적화된 크기 조정 및 배포

 

등이 가능하다고 안내되어 있네요! 유튜브 자동화는 어떤 방법으로 될지 잘 상상이 안 가네요!

직접 한번 해보고 후속 포스팅으로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매번 블로그에서 다루는 범주가 비슷하고 특별한 분석이나 개인적 감상이 필요없이 정보성이라면 자동화를 한번 연구해보셔도 좋을 것 같네요.

 

 

 

 

When THIS happens ... Do THIS Action

 

무료 플랜으로 구독하고 나면 뜨는 첫 화면인데 기대감이 드네요.

좀 복잡해서 부담스럽기도 하지만, 일단 첫번째 열에서 트리거를 선택하고 두번째 열에서 그 다음으로 이어지는 액션을 선택한다는 것 정도를 알겠습니다.

 

 

 

Template 란에 가면 위와 같이 조금 구체화시켜서 해볼 수 있는 템플릿들이 있습니다. Incoming Emails를 구글시트의 신규열로 자동 추가하는 부분은 정말 편리하겠네요. 그래도 제가 제일 관심있는 부분은 챗지피티로 블로그, SNS에 자동포스팅하는 부분입니다.

 

 

유튜브 관련 템플릿

 

Youtube templates in Make.com
Youtube templates in Make.com

 

 

유튜브 누적량이 많으신 분들은 유튜브 -> 구글시트로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기능도 있고요.

Custom search criteria에 따른 신규 유튜브 영상을 추적해서 구글시트에 추가하는 기능도 있군요.

 

 

 

쇼피파이 관련 템플릿

 

shopify templates in Make.com
shopify templates in Make.com

 

쇼피파이 관련 템플릿이 Make.com에 정말 많았습니다.

  • 쇼피파이에서 신규 제품을 가져와 핀터레스트에 이미지와 링크, 설명을 다는 기능도 보이고,
  • 결제된 쇼피파이 주문건을 구글시트 스프레드시트에 정리해주는 기능이 있네요.

심지어 장바구니의 Abandoned cart information까지 구글시트에 포함시키다니 정말 극도의 J 성향을 보는 것 같네요. 쇼핑몰에서 '장바구니에 아직 구매하지 않은 물품이 있습니다' 라고 노티스를 주기 위한 용도인 것일까요?

 

이 모든 것이 불과 5년 전까지도 열명 이상의 사람들이 들러붙어서 해야 하는 일이었는데 놀랍습니다.

 

 

 

주의사항 및 한계

티스토리에는 아직 적용 어려움?

 

Make.com의 강력한 기능에도 불구하고, 일부 플랫폼(예: Tistory)의 API 제한으로 인해 완전한 자동화에는 제약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WordPress와 같은 대안 플랫폼을 고려하거나 부분적 자동화 전략을 채택할 수 있다고 하네요.

 

결론

Make.com을 활용한 콘텐츠 제작 자동화는 2025년 디지털 마케팅 landscape를 획기적으로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크리에이터들은 이러한 도구를 적극 활용하여 생산성을 높이고, 더욱 창의적이고 전략적인 콘텐츠 제작에 집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이렇게 오늘은 2025년 콘텐츠 제작의 혁명: Make.com으로 블로그, 쇼츠, 유튜브, 카드뉴스 자동화에 대해 이야기해 보았습니다. Make에 관심있거나 현재 진행 중이신 분들도 의견을 나눠주세요!

 

도움이 되었다면 구독 &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

앞으로 좋은 정보를 계속 알려드리는 것에 큰 힘이 됩니다.

🩵 모두 행복한 하루 되시길 바라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