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금강경 제11장 무위복승분, 제12장 존중정교분, 제13장 여법수지분을 필사했다.

제11장 무위복승분
(무위법의 뛰어난 복덕, 절대한 큰 복덕)
수보리여! 항하의 모래 수만큼 항하가 있다면 그대 생각은 어떠한가?
이 모든 항하의 모래 수는 진정 많다고 하겠는가?
수보리가 대답하였다. 매우 많습니다, 세존이시여!
항하들만 해도 헤아릴 수 없이 많은데 하물며 그것의 모래이겠습니까?
수보리여! 내가 지금 진실한 말로 그대에게 말한다. 선남자 선여인이 그 항하 모래 수만큼의 삼천대천세계에 칠보를 가득 채워 보시한다면 그 복덕이 많겠는가?
수보리가 대답하였다. 매우 많습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선남자 선여인이 이 경의 사구게만이라도 받고 지니고 다른 사람을 위해 설해 준다면 이 복이 저 복보다 뛰어나다.

제12장 존중정교분
(올바른 가르침의 존중, 바른 교법을 존경하라)
또한 수보리여! 이 경의 사구게만이라도 설해지는 곳곳마다 어디든지 모든 세상의 천신, 인간, 아수라가 마땅히 공양할 부처님의 탑묘임을 알아야 한다.
하물며 이 경 전체를 바고 지니고 읽고 외우는 사람이랴!
수보리여! 이 사람은 가장 높고 가장 경이로운 법을 성취할 것임을 알아야 한다. 이와 같이 경전이 있는 곳은 부처님과 존경받는 제자들이 계시는 곳이다.

제13장 여법수지분 (이 경을 수지하는 방법)
그때 수보리가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이 경을 무엇이라 불러야 하며 저희들이 어떻게 받들어지녀야 합니까?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이 경의 이름은 ‘금강반야바라밀’이니, 이 제목으로 너희들은 받들어지녀야 한다.
그것은 수보리여! 여래는 반야바라밀을 반야바라밀이 아니라 설하였으므로 반야바라밀이라 말한 까닭이다.
수보리여! 그대 생각은 어떠한가?
여래가 설한 법이 있는가?
수보리가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설하신 법이 없습니다.
수보리여! 그대 생각은 어떠한가?
삼천대천세계를 이루고 있는 티끌이 많다고 하겠는가?
수보리가 대답하였다. 매우 많습니다. 세존이시여!
수보리여. 여래는 티끌들을 티끌이 아니라고 설하였으므로 티끌이라 말한다. 여래는 세계를 세계가 아니라고 설하였으므로 세계라고 말한다.
수보리여! 그대 생각은 어떠한가?
서른두가지 신체적 특징을 가지고 여래라고 볼 수 있는가?
없습니다. 세존이시여! 서른두가지 신체적 특징을 가지고 여래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여래께서는 서른두가지 신체적 특징은 신체적 특징이 아니라고 설하였으므로 서른 두가지 신체적 특징이라고 말씀하셨기 때문입니다.
수보리여! 어떤 선남자 선여인이 항하의 모래 수만큼 목숨을 보시한다고 하자. 또 어떤 사람이 이 경의 사구게 만이라도 받고 지니고 다른 사람을 위해 설해준다고 하자. 그러면 이 복이 저 복보다 더욱 많으리라.
———
이번 필사분은 단어는 평이한 내용인 듯 하면서도 뜻이 난해하다.
어떤 목적이 아닌 방향성을 중요시한다는 느낌도 든다.
무언가 (부처의 용모, 덕을 지음)를 단정지어 무작정 추앙하고 높이는 것보다
지혜의 말을 정확히 되새겨 남이 옳다는 길을 무조건 좇는 대신 바른 길로 가길 바라는 의미가 담긴 듯 하다.
———
사구게 등을 받아 설하는 방법으로는
위와 같은 필사도 있고, 독송하는 방법도 있으며, 가진 불경을 필요한 이에게 나누는 법보시도 있을 것이다.
'Homo Ludens in KR'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11-15(금) 금강경 제 16~17장 필사 (0) | 2024.11.15 |
---|---|
24-11-14(목) 금강경 제 14~15장 필사 (0) | 2024.11.14 |
24-11-12(화) 금강경 제 9~10장 필사 (0) | 2024.11.12 |
24-11-11(월) 금강경 제 7~8장 필사 (0) | 2024.11.11 |
24-11-10(일) 금강경 제 5~6장 필사 (0) | 2024.11.10 |